1. HTTP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HTTP Response
- status 응답코드
- 1xx Informational response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HTTP 1.0에서 지원되지 않음
- 2xx Success 성공
- 3xx Redirection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합니다
- 4xx Client errors 404 not found/403 forbidden/401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 5xx Server errors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했습니다.
- headers
- body
2. HTTPS란?
HTTP의 문제점
- HTTP 는 평문 통신이기 때문에 도청이 가능하다.
-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위장이 가능하다.
- 완전성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변조가 가능하다.
위 세 가지는 다른 암호화하지 않은 프로토콜에도 공통되는 문제점들이다.
TCP/IP 는 도청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TCP/IP 구조의 통신은 전부 통신 경로 상에서 엿볼 수 있다. 패킷을 수집하는 것만으로 도청할 수 있다. 평문으로 통신을 할 경우 메시지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화하여 통신해야 한다.
보완 방법
- 통신 자체를 암호화 SSL(Secure Socket Layer) or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조합함으로써 HTTP 의 통신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다. SSL 을 조합한 HTTP 를 HTTPS(HTTP Secure) or HTTP over SSL이라고 부른다.
- 콘텐츠를 암호화 말 그대로 HTTP 를 사용해서 운반하는 내용인, HTTP 메시지에 포함되는 콘텐츠만 암호화하는 것이다. 암호화해서 전송하면 받은 측에서는 그 암호를 해독하여 출력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란?
- HTTP 에 암호화와 인증, 그리고 완전성 보호를 더한 HTTPS
- HTTPS는 SSL 의 껍질을 덮어쓴 HTTP 라고 할 수 있다. 즉, HTTPS 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이 아니라는 것이다. HTTP 통신하는 소켓 부분을 SSL(Secure Socket Layer) or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프로토콜로 대체하는 것 뿐이다. HTTP 는 원래 TCP 와 직접 통신했지만, HTTPS 에서 HTTP 는 SSL 과 통신하고 SSL 이 TCP 와 통신 하게 된다. SSL 을 사용한 HTTPS 는 암호화와 증명서, 안전성 보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HTTPS 의 SSL 에서는 공통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을 사용한다. 공통키를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교환한 다음에 다음부터의 통신은 공통키 암호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over TLS, HTTP over SSL, HTTP Secure 등으로 불리는 HTTPS는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HTTPS는 HTTP와 다르게 443번 포트를 사용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중간에 제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공개키 암호화를 지원하고 있다.
공개키/개인키
HTTPS는 공개키/개인키 암호화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있다. 공개키와 개인키는 서로를 위한 1쌍의 키이다.
- 공개키: 모두에게 공개가능한 키
- 개인키: 나만 가지고 알고 있어야 하는 키
HTTPS의 동작 과정
HTTPS는 SSL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공개키/개인키 기반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있다.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임의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조회하여도 원본의 데이터를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이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때 암호화를 하기 위한 공개키를 생성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인증된 기관(Certificate Authority) 에 공개키를 전송하여 인증서를 발급받고 있다. 자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A기업은 HTTP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 HTTPS를 적용하기 위해 공개키/개인키를 발급함
- CA 기업에게 돈을 지불하고, 공개키를 저장하는 인증서의 발급을 요청함
- CA 기업은 CA기업의 이름, 서버의 공개키, 서버의 정보 등을 기반으로 인증서를 생성하고, CA 기업의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A기업에게 이를 제공함
- A기업은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인증서를 제공함
- 브라우저는 CA기업의 공개키를 미리 다운받아 갖고 있어, 암호화된 인증서를 복호화함
- 암호화된 인증서를 복호화하여 얻은 A기업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요청을 전송함
- 호환된 인증서는 CA의 개인키로 암호화되었기 때문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는 A 기업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였기 때문에 A기업만 복호화하여 원본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HTTPS는 이러한 공개키/개인키 기반의 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활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3. HTTP와 HTTPS
HTTP는 암호화가 추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반면, HTTPS는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하지만 HTTPS를 이용하면 암호화/복호화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HTTP보다 속도가 느리다.(오늘날에는 거의 차이를 못느낄 정도이다.) 또한 HTTPS는 인증서를 발급하고 유지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다.
그렇다면 언제 HTTP를 쓰고, 언제 HTTPS를 쓰는 것이 좋겠는가?
개인 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한다면 HTTPS를 이용해야 하지만, 단순한 정보 조회 등만을 처리하고 있다면 HTTP를 이용하면 된다.
모든 웹 페이지에서 HTTPS를 사용해도 될까?
평문 통신에 비해서 암호화 통신은 CPU나 메모리 등 리소스를 더 많이 요구한다. 통신할 때마다 암호화를 하면 추가적인 리소스를 소비하기 때문에 서버 한 대당 처리할 수 있는 리퀘스트의 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하드웨어의 발달로 인해 HTTPS를 사용하더라도 속도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새로운 표준인 HTTP 2.0을 함께 이용한다면 오히려 HTTPS가 HTTP보다 더 빠르게 동작한다. 따라서 웹은 과거의 민감한 정보를 다룰 때만 HTTPS에 의한 암호화 통신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현재 모든 웹 페이지에서 HTTPS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 Cache 한 번 웹 사이트에 접속해 다운 받은 파일을 다시 사용해서 쓰는 것 성능향상
내용이 갱신되었을 때 웹 브라우저는 알지 못한다
Ctrl+F5/Cmd+ 캐시 갱신
=> cache-control / pragma 헤더값들은 캐시를 제어함
- cookie 설정된 값을 서버에 전송해서 사용자 접속 유지-> web storage
- proxy 웹 브라우저 - 웹 서버 사이의 중계서버. 캐시를 대신 해주거나 보안공격 막거나 사용자 요청을 여러대 서비스로 분산해주는 것
- 네트워크 모니터링 > F12 개발자도구 , wireshark
4. HTTP의 GET과 POST 비교
둘 다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무엇인가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둘의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여 기술의 목적에 맞게 알맞은 용도에 사용해야한다.
GET
우선 GET 방식은 요청하는 데이터가 HTTP Request Message의 Header 부분에 url 이 담겨서 전송된다. 때문에 url 상에 ? 뒤에 데이터가 붙어 request 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url 이라는 공간에 담겨가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적이다. 또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그대로 url 에 노출되므로 GET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ex. password)
POST
POST 방식의 request 는 HTTP Request Message의 Body 부분에 데이터가 담겨서 전송된다. 때문에 바이너리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POST 방식으로 보내야 하는 것처럼 데이터 크기가 GET 방식보다 크고 보안면에서 낫다.(하지만 보안적인 측면에서는 암호화를 하지 않는 이상 고만고만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특성을 이해한 뒤에는 어디에 적용되는지를 알아봐야 그 차이를 극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우선 GET 은 가져오는 것이다.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준다거나 하는 용도이지 서버의 값이나 상태 등을 변경하지 않는다. SELECT 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POST 는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또는 추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부수적인 차이점을 좀 더 살펴보자면 GET 방식의 요청은 브라우저에서 Caching 할 수 있다. 때문에 POST 방식으로 요청해야 할 것을 보내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고 보안적인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GET 방식으로 요청한다면 기존에 caching 되었던 데이터가 응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때문에 목적에 맞는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GitHub - JaeYeopHan/Interview_Question_for_Beginner: Technical-Interview guidelines written for those who started studying progr
:boy: :girl: Technical-Interview guidelines written for those who started studying programming. I wish you all the best. :space_invader: - GitHub - JaeYeopHan/Interview_Question_for_Beginner: Techn...
github.com
https://mangkyu.tistory.com/98
[Web] HTTP와 HTTPS 및 차이점
1. HTTP란?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즉,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
mangkyu.tistory.com
'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tion) (0) | 2021.11.11 |
---|